728x90
300x250
4월 30일, 국민의힘TV 주최로 열린 대통령 후보 결승 토론회에서는 보수 진영을 대표하는 두 인물, 김문수와 한동훈이 최후의 한 자리를 놓고 정면으로 맞붙었습니다. 이번 토론회는 단순한 정책 경쟁을 넘어, 세대교체와 리더십에 대한 국민의 선택을 시험하는 자리였습니다.
📌 목차
이번 결승 토론은 2025년 제21대 대선을 앞두고 열린 국민의힘 최종 후보 선출 토론회였습니다. 당내 경선을 거쳐 결승에 오른 김문수 전 경기지사와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이 맞붙었으며, 국민의힘TV 공식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되었습니다.
두 후보 모두 각자의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 토론은 중도 및 무당층을 겨냥한 메시지 전달에 중점을 둔 것으로 분석됩니다.
2. 토론 진행 구성
- 자기소개 - 인생네컷 방식으로 자신을 소개
- OX 패널 질문 - 정치철학, 공정성, 개혁성 판단
- 자유토론 - 경제 및 민생 주제 중심
- 외교·안보 질의 - 대북정책, 국제관계관 제시
- 비전 발표 - 5년 뒤 한국의 모습 제안
3. 핵심 쟁점별 후보 비교
주제 | 김문수 | 한동훈 |
---|---|---|
경제정책 | 규제 개혁, 시장 중심 성장 | 공정한 경쟁환경, 청년 창업 지원 |
복지정책 | 선별 복지, 재정건전성 우선 | 보편 복지 확대, 사회안전망 강화 |
청년정책 | 현장 중심 기술교육 강화 | 공정 채용, 스타트업 지원 |
외교/안보 | 북한 억지력 중심, 미국 우선 동맹 | 다자외교, 유연한 협상 전략 |
4. 시청자 반응과 미디어 평론
온라인 커뮤니티 및 실시간 댓글 반응에서는 각 후보에 대한 세대별 호불호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 김문수: 안정감, 원칙 강조 → 50대 이상에게 강세
- 한동훈: 신뢰감, 개혁 이미지 → 20~40대 사이에서 호응
언론에서는 한 후보의 유연한 언변과 대중 친화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김 후보는 경험에서 나오는 정책 깊이와 보수 가치 수호 의지를 강조하는 점에서 점수를 받았습니다.
5. 결론 및 향후 전망
두 후보 간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토론이었지만, 메시지의 방식과 지지층의 정서에 따라 결과는 갈릴 수 있습니다. 이 결승 토론은 보수 정치의 정체성과 미래 전략, 리더십의 스타일을 놓고 유권자가 직접 선택하게 되는 상징적인 대결이었습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