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00x250
4월 22일, 국민의힘이 대통령 후보 2차 경선 진출자 4인을 확정했습니다. 각기 다른 정치 색깔과 공약을 가진 김문수, 한동훈, 안철수, 홍준표 후보가 대선 본선을 향해 다시 한 번 맞붙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후보별 특징, 공약, 지지 기반을 정리하고 비교해봅니다.
📌 목차
- 1. 경선 일정 요약
- 2. 김문수 후보: 전통보수의 저력
- 3. 한동훈 후보: 새로운 보수의 실험
- 4. 안철수 후보: 중도 전략의 선봉
- 5. 홍준표 후보: 토론의 강자, 경륜의 상징
- 6. 주요 정책 비교표
- 7. 유권자 관점에서 본 강점과 약점
1. 경선 일정 요약
- 🔹 4/24~25: 후보 간 1:1 주도권 토론
- 🔹 4/26: 4인 후보 합동 토론회
- 🔹 4/27~28: 국민 여론조사 + 당원 투표 (50%씩 반영)
- 🔹 4/29 또는 5/3: 최종 후보 확정
2. 김문수 후보: 전통보수의 저력
김문수 후보는 안정적인 언변과 가치 중심의 보수 정치인으로 평가받습니다. 주거 문제에 강하게 대응하며 청년층 공략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 지지율: 보수 지지층 내 27.8%
- 주요 공약: '반값 월세존', 1인가구 맞춤 공공주택 비중 확대
- 강점: 연륜, 공직 경험, 보수 결집
3. 한동훈 후보: 새로운 보수의 실험
젊고 개혁적인 이미지로 보수 세대교체를 상징하는 한동훈 후보는 수도권 문제 해결과 스타트업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차별화된 비전을 제시합니다.
- 지지율: 전체 14.9% (청년층에서 높은 선호도)
- 주요 공약: '5대 메가폴리스' 계획, 청년주택 및 기술창업 육성
- 강점: SNS 영향력, 젊은 유권자 공감력
4. 안철수 후보: 중도 전략의 선봉
중도 확장과 통합 이미지를 강조하며 중산층과 수도권 중심 지지세를 노립니다. 실용주의에 기반한 과학기술 정책이 특징입니다.
- 지지율: 9.6% (중도·무당층 중심)
- 주요 공약: 디지털 복지국가, 미래산업 기반 재정비
- 강점: 비호감도 낮음, 실용형 이미지
5. 홍준표 후보: 토론의 강자, 경륜의 상징
직설적 언변과 풍부한 정치 경험을 가진 홍 후보는 의료정책 등 이슈 선점과 함께 TK지역 기반의 강력한 지지층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지지율: 12.4%
- 주요 공약: 공공의대 설립, 강한 대북 정책
- 강점: 토론 실력, 지방 기반 탄탄
6. 주요 정책 비교표
후보 | 주거정책 | 청년정책 | 복지비전 | 대외전략 |
---|---|---|---|---|
김문수 | 반값 월세존, 공공주택 확대 | 군 가산점 확대, 청년창업 지원 | 노인 일자리, 생계 복지 강화 | 보수 중심 강경 외교 |
한동훈 | 청년 주택 공급 대폭 확대 | 스타트업 투자·기술금융 | 복지 시스템 재설계 | 경제·기술 외교, 한미동맹 강화 |
안철수 | 청년·중산층 중심 주택정책 | 디지털복지, 교육 인프라 확충 | 과학기술기반 복지 비전 | 중립 외교 + 경제 협력 확대 |
홍준표 | 지방 의료·복지 인프라 강화 | 장병 복지 향상, 현장 일자리 | 공공의대 설립, 노년층 케어 | 대북 억제 중심 자주외교 |
7. 유권자 관점에서 본 강점과 약점
이번 경선은 단순한 인기 경쟁을 넘어 정책의 무게감, 리더십의 신뢰도, 사회 통합에 대한 비전이 핵심입니다.
- 김문수: 전통 보수 지지층 집중 → 확장성은 숙제
- 한동훈: 세대교체 바람 강함 → 정치경험 부족 우려
- 안철수: 중도 확장력 우수 → 고정층 취약
- 홍준표: 논리·직설 강점 → 비호감 요인도 존재
각 후보의 핵심 메시지를 이해하고 나에게 맞는 리더를 선택해보세요. 유권자의 한 표가 국가의 미래를 바꿉니다.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