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6년 시급은 얼마? 월급, 주휴수당까지 제대로 알아보기

infogentle 2025. 7. 12. 00:49
728x90
300x250

 

 

내년도부터 시행되는 최저시급이 확정되면서 아르바이트, 단기근로, 프리랜서 등 다양한 형태의 근로자들이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급부터 주휴수당, 월급 환산, 실수령액까지 전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목차

  1. 2026년 시급 확정!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었나?
  2. 최저시급 인상 흐름과 5년간 변화
  3. 시급으로 월급 계산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
  4. 주휴수당 받는 조건과 계산법
  5. 근로자를 위한 실전 팁

1. 2026년 시급 확정! 어떤 기준으로 결정되었나?

2026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시급 10,320원입니다. 이는 2025년보다 290원이 오르며 2.9% 인상된 결과입니다. 이번 결정은 고용노동부 산하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노사정 합의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무표결 합의는 17년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2. 최저시급 인상 흐름과 5년간 변화

연도 시급 인상률 월 환산액 (209시간 기준)
2022 9,160원 +5.1% 1,914,440원
2023 9,620원 +5.0% 2,010,580원
2024 9,860원 +2.5% 2,060,740원
2025 10,030원 +1.7% 2,096,270원
2026 10,320원 +2.9% 2,156,880원

3. 시급으로 월급 계산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

많은 분들이 시급 × 160시간으로 단순 계산하지만, 실제로는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 209시간 기준으로 계산해야 정확합니다.

  • 기본 계산법: 시급 × 209시간
  • 2026년 기준: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 약 1,940,000원 수준

4. 주휴수당 받는 조건과 계산법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시급 근로자도 반드시 포함됩니다.

2026년 기준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 근무시간 주휴수당 총 주급
20시간 20,640원 227,040원
30시간 30,960원 348,360원
40시간 82,560원 498,240원

근로자를 위한 실전 팁

  • 근로계약서에는 ‘시급’과 ‘주휴수당 포함 여부’를 반드시 명시하세요.
  • 계산 시에는 고용노동부 임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자는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체험기, Q&A, 계산법 자동화 포스팅으로 확장해보세요.

🔝 다시 목차 보기

 

[같이보면 좋은글]

 

2025년 정부 민생소비지원금 피싱 사기 대처법과 문자 알림 신청 가이드

2025년부터 시행되는 전국민 민생소비지원금 지급을 앞두고, 이를 교묘하게 악용한 문자 사기와 보이스피싱이 급증하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사칭 문자 피해를 예방하고 정부의 올바른 지원 정

infogentle.info-gentle.com

 

 

2025 근로장려금, 지금 확인하세요! 6월 입금 일정부터 조회 꿀팁까지

국세청이 시행하는 대표적인 저소득 지원제도, 근로장려금. 올해 상반기분은 6월 26일부터 순차적으로 입금이 시작되며, 정기 신청자와 반기 신청자 모두 일부 대상자에 한해 빠르게 지급받게

infogentle.info-gentle.com

 

 

2025 평생교육바우처 신청지역과 변경사항 지원대상 총정리

배움에는 끝이 없다는 말, 이제는 말뿐이 아닙니다. 국가가 직접 학습 비용을 지원하는 평생교육이용권 제도가 2025년부터 더욱 확대 시행됩니다. 이번 개편으로 인해 지원 대상자와 사용처, 금

infogentle.info-gentle.com

 

728x90
300x250